top of page

글로벌 커리어를
시작하는 마음가짐

뤼이드는 글로벌 교환 프로그램(Global Exchange Program)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Global Operational Excellence TF팀에서 운영하는 이 프로그램은 뤼이드 개발자가 가장 최상의 서비스를 글로벌 시장에 안착시키기 위해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 오피스에 모여 효율적으로 업무를 진행하도록 합니다.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서 개발자들은 장기 출장 또는 워킹 비자를 지원받아 미국 오피스로 업무 이동을 하기도 합니다. 최고의 엔지니어가 글로벌 커리어를 쌓을 수 있게, top-tier 급의 인재로 성장할 수 있게 뤼이드는 지원합니다. 미국 오피스에서 일하게 될 ‘황찬유’님의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chanyou-hwang_3.jpg

본인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뤼이드의 개발자 황찬유 입니다. 원래는 연구자에 더 가까운 사람인데, 현재는 회사에서 서버 개발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현재 뤼이드에서는 어떤 업무를 담당하고 계시나요?
속한 팀에 대해서도 간략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현재는 AIOps 팀의 리더로 일하고 있습니다. 저희 팀은 리서치에서 연구된 AI 모델 및 서비스를 실제 서비스에 녹이는데 필요한 업무들을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정제하고, 모델을 학습시키고, 실제로 서버에 올리고, 모니터링하고, 서비스에서 다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등의 일입니다. 사실 이 부분도 업계 스탠더드가 정립되어있지는 않아서, 저희도 반쯤은 리서치 팀 처럼, 시스템을 연구하면서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 중에서 “AI 모델을 서버에 올리고,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과정”을 빠르게 하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chanyou-hwang_1.jpg

뤼이드에는 왜 합류하게 되셨나요?

휘수형이라고, 대학교때 친했던 형이 다니는 회사 놀러 오라 해서… 왔다가 현빈님이랑 용구님한테 영업 당했습니다. 두 분의 뤼이드 대한 확신이 엄청나셨거든요. 당시만 해도 산타토익 앱 하나밖에 없는 스타트업 이었는데도요. 저는 잘 몰랐지만 ‘뭔가 있긴 한가보다’ 싶었어요.

현재까지 일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나 업무가 있을까요?

산타토익에 올파츠라는 기능이 있었어요. 원래는 사용자가 풀고싶은 파트를 고르고, 그 파트에 해당하는 문제를 쭈르륵 추천해주는 UX였는데, 이 기능은 파트 상관없이, 사용자한테 가장 도움이 되는 문제들을 추천해주자 라는 컨셉이었죠. 그게 제가 회사에서 직원으로서 돈 받으면서 프로덕트에 심은 첫 코드였네요. 이전에 스타트업 창업을 두 번 했고, 그 때랑 취미로도 서버랑 앱을 둘 다 만들어봤지만, 이전이랑은 출시했을 때의 감회가 많이  다르더라고요. 아무래도 사용자가 돈을 내고 쓰는 서비스라 그랬던 것 같아요. 이전에는 트래픽이 더 많아도 다 무료였어서...

 그리고 이 기능이 원래 뤼이드 교육 인공지능 연구의 테스트 베드로서 역할을 하기를 기대했는데, 여러 이유로 그 역할은 하지 못해 매우 아쉬워서 더욱 기억에 남는 것 같기도 하네요.

어떤 계기로 GEP를 통해 미국 오피스로 가시게 되셨나요?

회사에 들어와서, 토익 올파츠, 공인중개사 등 여러 프로덕트의 런칭에 기여하였고, 이외 프로덕트 데모나 사내에서 활용하는 툴들을 여럿 만들고, Riiid Score 개발 같은 연구에도 참여한 것이 어느 정도 인정받은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 경험들을 통해 회사의 프로덕트들이나, 연구, 그리고 AI 시스템에 관련된 컨텍스트를 두루두루 알고 있게 되어서 미국 법인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어서 이런 기회를 얻게 된게 아닐까 싶네요.

GEP는 어떤 프로세스를 통해 진행되나요? 

GEP는 전오피스 전직원에게 열려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오피스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요. 참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회사 차원에서 특정 인원이 필요시에 요청에 의해 참여하는 것도 있고, 새 프로젝트가 생겼을 때 개인이 신청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타 오피스의 직원과 업무를 하다 필요시에 GEP Application을 통해 신청합니다. 본인이 타 오피스에 가서 진행해야하는 업무와 업무에 대한 기간을 산정하고, 명확한 목표와 기대되는 결과물을 상대 오피스의 인원과 상의해서 구체화를 시킵니다. 양쪽 오피스의 니즈의 타당성을 내부 GOE라는 조직이 신청자의 소속 팀 리더가 논의하여 결정됩니다. 

 

GEP를 통해 협업과정의 업무 능력을 인정받게 되는 경우 저처럼 미국 오피스로 relocation이 됩니다. GEP를 통해 오피스나 프로젝트 별로 핏을 맞추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글로벌 테크 기업으로 이직과 뤼이드 GEP를 비교했을때, 뤼이드 GEP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빅테크 기업들은 어느 정도 밑그림이 그려진 도화지라면, 뤼이드는 아직 하얀 도화지라고 할 수 있을거에요. 해야할 일이 뚜렷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지만, 그 만큼이나 새로운 시도를 해 볼 기회들이 있는 것이죠. 이는 분명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입니다만, 모험, 도전, 개척에 대한 갈망이 있는 분이라면 후자의 길을 원하시지 않을까요? 저는 그 쪽이에요. 그리고 GEP를 통해 이러한 기회를 해외에서 큰 리스크 없이 가져볼 수 있는 것이 플러스 포인트 아닐까요?

chanyou-hwang_2.jpg

앞으로 이루고 싶은 목표 또는 진행하고 싶은 프로젝트는 무엇인가요?

더욱 다양하고 진보된 교육 인공지능 솔루션들을 빠르게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고 싶어요. 교육에서 인공지능이 해 줄 수 있는 일들이 무궁무진하다고 보는데요. 예를 들어, 학생을 고액 과외교사만큼 면밀히 관찰하는 것, 단순히 성적을 올리는 것만 아니라, 학생들의 협동심, 창의성 같은 더 높은 차원의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돕는 것 같이요. 그러한 일들까지 인공지능이 할 수 있게되면, 궁극적으로 교육의 평등을 이룰 수 있고, 교육이라는 명목 하에 일어나는 여러 비효율들을 없앨 수 있으리라 봐요. 그냥 비용 측면만 봐도 사교육비나, 좋은 학군에 보내기 위해 지불하는 비싼 주거비용 같은 게 사라질 수 있지 않을까요? 그 돈으로 가족끼리 맛있는거 더 먹고, 좋은데 여행도 더 가고 하면 좋잖아요. 그렇게 모두가 좀 더 살기 좋은 세상이 되고, 행복해지는데 보탬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뤼이드 개발자로서 함께 일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기본적으로 필요한 역량은 당연히 기본 지식이겠죠. 컴퓨터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알고 오셔야 좋을 것 같습니다. 새로운 것을 만들 때, 아래에 무엇이 깔려있는지 알고 이야기를 해야 수월하게 진행이 되니까요. 특히나 저는 computer science가 추상화의 학문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기본 지식을 잘 쌓는다면, 우리가 쓰는 컴퓨터가 어떠한 추상화를 통해 만들어진 것인지 충분한 이해를 가지게 될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러면 그 위에 우리가 더 쌓아 올릴 것들을 만들 때, 선구자들이 해왔던 패턴들을 참고해서 조금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으리라 봐요.

글로벌 테크 기업에서 일하기를 원하는 예비 뤼이더분들에게 하고 싶은 말씀은?

Riiid에서 하는 일들은 분명 뻔하지 않은 일들이에요. 많은 것들이 미지의 세계에 한 발자국을 딛는 일이고요. 그리고, 그 한 발자국이 올바른 길인지 아닌지 아무도 모르는 일들이에요. 즉, 여기서 일하시게 된다면, 본질적으로 많은 실패를 경험할 수 밖에 없고, 확실한 것이 없는 업무를 많이 하게 되실 거에요. 실제로 저도 그런 일들을 겪어왔고요.  대부분의 engineering work이 연구에 가까울거고, 여러분이 만들어 내는 것들은 대부분 정교하고 깔끔하기 보단 투박한 모습이 될 거에요. 왜냐면 딱히 레퍼런스가 없거든요. 비슷한걸 먼저 한 사람들이 잘 없으니까요. 정교하고 깔끔한걸 어떻게 만드는지는 투박하게라도 만들어 본 경험이 있어야 아는거잖아요. 그래서 항상 정답만을 추구하는 사람들보단 조금 과감한, 모험을 즐기시는 분들이 오셨으면 좋겠습니다. 환영합니다.

​오픈된 포지션을 확인하세요!

bottom of page